• 최종편집 2025-03-25(화)
 

 

image04.jpg

한우 AI 생체인식 기술 개발 연구 성과 보고회 개최

 기존 개체식별 방식(귀표)을 보완한 인공지능(AI) 생체인식 기술 적용 

 한우 개체식별의 위변조 가능성 차단으로 체계적 개체관리 가능

 

[대구광역신문= 안오명 기자] 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는 지난 6일 연구소 회의실에서 농림축산식품부축산물품질평가원농업정책보험금융원,농협손해보험, ()한국농어업재해보험협회아이싸이랩(공동연구 업체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AI 생체인식 개체인증 기술 연구 성과 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현재 귀표로 관리하는 한우 개체관리 방식의 한계(훼손·탈락·뒤바뀜 등)를 보완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소(생체정보(비문_코주름인식 기술을 활용한 개체인증 방식으로 변경 또는 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축산기술연구소와 아이싸사이랩은 2년간의 공동연구를 통해서 사람의지문과 같이 한우의 생체 정보(비문_코주름사진 촬영을 통해서 출생 직후부터성체(18개월)에 이르기까지 생체정보가 변함없이 유지되며나이(성장)에 상관없이 일정한 비문의 패턴이 유지되고상처가 난 이후회복됐을 때도 상처 나기이전의 생체정보로 복구되는 것을 확인하고같은 개체를 99% 이상 인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국제 표준화를 추진 중이며이를 뒷받침할 학술 논문 출판도 진행 중이다.

 

경북축산기술연구소는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AI 생체 인식 기술을통해 스마트 축산업을 촉진하고한우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기술개발 업체인 아이싸이랩의 변창현 CTO는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동물 비문 인식 기술이스마트 축산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고추가 연구개발을 진행해 가축 생체정보 인식 분야의 국제적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재식 경북도 축산기술연구소장은 “AI 생체인식기술이 축산분야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기술로 확인됐으며이를 통해 축산물 이력제의개체관리 방법을 개선하거나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특히 최근 논쟁이 된 가축재해보험에가입된 한우의 귀표가 뒤바뀌는 문제점을예방할 수 있다며 축산업에서 우수한 혈통의 안전한 보급을촉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6651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우 AI 생체인식 기술 개발 연구 성과 보고회 개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